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건축물 내진성능평가이란 어떤이고 언제해야하고 비용은 얼마나쁘지않아 들까요?
    카테고리 없음 2020. 3. 18. 11:30

    건축물 내진 성능 평가란 어떤 것으로, 언제 해야 하며, 비용은 얼마나 들까요.(주)예정엔지니어링에서 알아보는 내진성능평가 안녕하세요 예정엔지니어링입니다. 서울특별시 소재 초등학교 건축물의 내진성능 평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건축물은 현재 구조도면이 없기 때문에 현장에서 표본연구를 하고 구조도면을 작성해야 합니다.이렇게 작성된 구조도면을 바탕으로 구조겸열, 내진성능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필요에 따라 보수보강 비결 등을 제시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목적입니다.현장연구항목에는크게8가지가있습니다. 하본인씩 알아볼까요? 먼저 육안연구를 통해 균열, 박리박락, 철근노출 등의 결함상태를 연구합니다.​


    >


    두번째는조적벽체의벽체량을연구하는것입니다.매립벽과 요벽의 위치, 높이, 두께 등을 연구하여 조적벽체 상단부 및 수직열목의 사선상태를 확인하여 내진성능평가에 적용한다~


    >


    셋째, 부재단면의 규격을 연구하게 되는데, 설계도서가 있으면 설계도서상의 치수와 동등한지, 다르다면 어느 정도의 차이가 나쁘지 않은지 상세하게 실측하여 연구하되 설계도서가 없는 관계로 실측하여 구조검토용 도면을 작성하는 것이다.


    >


    넷째, 콘크리트의 강도를 조사합니다. 콘크리트 코어를 채취하여 압축 강도를 측정하는 코어 채취법과 비파괴 시험 노하우인 "반발 경도법(Schmid thammer)"을 병행합니다.


    >


    다섯 번째, 철근의 배근 상태를 조사한다.철근탐사기인 "RC-Radar"를 이용하여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이 장치의 원리는 전자파를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내부로 방사하여 콘크리트와 전기적 성질이 다른 철근이 본인, 공동 등의 대상물로부터 반사되는 전파를 다시 안테나 본인으로부터 수신하여 철근의 배근상태 본인의 공동 등의 위치 및 깊이를 화상하는 것이다.아래의 그림을 보시면, 보다 알기 쉬워집니다.^^


    >


    >


    여섯째, 콘크리트 탄산화 시험 콘크리트 탄산화는 콘크리트가 공기 중의 탄산가스와 작용하여 알칼리성을 잃어 중성이 되는 현상으로,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얼마나 깊이에서 탄산화가 진행되었는지를 연구하는 것입니다. 연구방법은 페놀프탈레인 1% 용액법으로 알칼리 성분과 만나면 진한 붉은색이 되므로 용액을 콘크리트에 분무하여 발색정도의 중성화 진행 정도를 파악합니다.


    >


    첫 번째는 변위 및 변형에 대해 연구한다.


    >


    구조물(건축물) 바닥에서 '레이저 LEVEL'을 이용하여 부동침하를 측정하고, 'TRANSIT측량기'를 이용하여 외부벽에 대한 수직구배를 측정합니다.여덟번째는 지질조사입니다.수직토층분포상태 및 기반암의 분포상태, 풍화도의 지반공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채취되는 시료를 분석하여 지층의 층위를 파악하고 탄성파 시험을 실시하여 지반의 등급을 판단하는 목적입니다.


    >


    여기까지 현장에서 조사할 사항을 함께 살펴봤는데요! 필요에 따라 항목이 추가되고 거과인이 빠질 수도 있습니다. 위에서 이야기한 현장 조사 사항을 모두 취합해 분석합니다.스젠이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내진 성능 평가(구조 해석)와 그에 따른 내진 보강 설계, 구조 부재에 대한 안전성 겸열을 실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보수 보강책 등을 제시합니다.


    >


    Midas GEN Modeling


    >


    내진보강 3D-MODELING 본인이니 공공시설물의 내진설계율이 절반에도 못 미치는 36.2%라고 할 것이다. 지진에 대비하여 큰 재해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네요.여러분의 건축물의 내진 성능 보강에도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합니다.지금까지 서울특별시 소재의 초등학교 내진성능 평가에 대한 포스팅이었습니다.내진성능평가비용은 건축물 상태 본인의 성과물 종류나 위치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용역비가 다양할 것이다.궁금한 것이 있으면 언제든지 의도엔지니어링에 문의해 주십시오.


    >



    댓글

Designed by Tistory.